현재 사용중인 브라우저 정보

귀하께서 사용하시는 브라우저 종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 입니다.

원할한 W브릿지 이용을 위해서는 Edge 브라우저나
Chrome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Wbridge 로고

과학기술커리어트렌드

주간커리어뉴스

AI·양자기업 82% 인력 부족, 이공계 박사들은 바이오에 쏠려

#STEM#여성과학기술인#이공계#트렌드#커리어

조회수 143 좋아요0 작성일2024-11-22



│AI·양자기업 82% 인력 부족, 이공계 박사들은 바이오에 쏠려

 과학기술 전공자 2명 중 1명이 전공과 상관없는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과학기술 전공자의 46.7%가 비과학기술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 인재 부족에 시달리는 것은 이 같은 '미스매치' 탓도 있다고 과학기술계는 말한다. 국내 이공계 박사가 특정 분야에 치우쳐 양성되는 것도 주요 원인이다. 특히 바이오 분야는 불균형이 가장 심각한 분야다. 정부의 투자가 집중되며 바이오 분야 석박사 졸업자는 크게 늘었으나 생태계를 제대로 키우지 못한 탓에 기업들의 연구인력 수요가 늘지 않았다.


기업들은 기업대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업 영역을 확장하거나 새로 창업하려고 해도 인재가 부족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상황이다. 2023년 AI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AI 관련 기업 2354곳 중 81.9%가 관련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미스매치와 이공계 인재 부족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선 대학원 시스템 전반을 손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은 "자율성을 강조한 대학원 정책도 이제는 구조개혁과 국가 전체 R&D의 효율화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며 "강도 높은 대학 구조개혁과 대학원 특성화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관련 기사 보기(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99369?sid=105



│세계 AI 인재 확보 전쟁 중...국내 AI 전문가 6% 불과

 전 세계가 인공지능 인재 확보를 위해 전쟁 중인 상황 속 국내에서 배출되는 이공계 박사급 인력 100명 중 AI 전문가는 6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 이공계 박사 추적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배출된 이공계 박사는 9247명, 이 중 AI 분야는 618명이었다. ‘12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된 분야도 박사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전체 이공계 박사 취득자 중 51%는 정부의 12대 전략기술과 무관한 분야를 전공했다. 앞으로 이러한 과학기술 인력 부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며 이에대해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내년부터 이공계 석‧박사 과정이 감소세로 돌아서고, 2048년이면 석‧박사 모두 지금의 절반 이하로 줄어든다”면서 “2040년에는 대학원생 절대 규모가 반으로 줄어 상위 10곳만 겨우 대학원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관련 기사 보기(매일경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99409?sid=105



│수도권 공대 의대 쏠림 현상으로 고전...그 사이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도약했다

  수도권 주요 공대가 의대 쏠림 현상으로 고전하는 사이 지역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도약했다. 의대 쏠림 현상의 폭주 와중에도 투자 확대와 연구 혁신을 시도한 과학기술특성화대 빅4(POSTEC‧KAIST‧UNIST‧GIST)는 올해 중앙일보 공학‧기초과학 평가에서 모두 10위권 안에 들었다. 4개 대학이 모두 톱10에 모두 진입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학생과 교육에 대한 투자가 순위 상승으로 이어졌다. 과학기술특성화대학들의 지난해 학생 1인당 교육비는 9583만원으로 서울‧연세‧고려대 평균 교육비(4269만원)의 두 배가 넘었으며, 공학‧기초과학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한 POSTEC은 인당 1억 1556만원으로 3배에 육박했다. 그러나 이러한 투자에도 평판도 조사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의대 쏠림과 이공계 기피, 수도권 선호 현상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며 이에 대해 김용현 KAIST 처장은 “과학기술특성화대가 위기론이 나오지만, 분명히 ‘이공계 마니아’들이 있다며 ”흔들리지 않는 물리광, 공학광을 잘 키울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관련 기사 보기(중앙일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01770?sid=102



│‘워라밸’에서 ‘워라인’으로...“시간 대신 업무가 중심돼야”

 일‧생활 균형제도의 보편화와 저출생 극복을 위해 일‧돌봄‧생활을 함께하는 근로자가 인사관리의 표준이 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일과 생활의 균형을 일컫는 ‘워라밸’이 일과 생활의 통합으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워라인(Work-Life Integration)’으로 보완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차별 없는 일터, 고용상 성차별 개선 및 양성평등 일자리 환경 조성'을 주제로 진행된 제5차 인구전략공동포럼에서 강민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와 같은 주제로 발제하며 "일·가정 양립제도가 남녀 모두의 일·생활 균형을 지원할 때 저출산 문제도 해결된다"며 "기업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인사 평가 시 근로자가 불이익을 느끼지 않도록 인사관리의 개념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현재 일·생활 균형과 관련한 사업주 지원금을 통합해 대체인력 고용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이 내부적 업무 조정을 통해 적절하게 대체인력을 활용하도록 컨설팅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관련 기사 보기(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58220?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