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중인 브라우저 정보

귀하께서 사용하시는 브라우저 종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 입니다.

원할한 W브릿지 이용을 위해서는 Edge 브라우저나
Chrome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Wbridge 로고

과학기술커리어트렌드

주간커리어뉴스

세계 최초 DNA 나노기술부터 달 관측까지…과기정통부 선정, 올해의 '국가대표 R&D' 100선

#STEM#여성과학기술인#이공계#트렌드#커리어

조회수 127 좋아요0 작성일2024-12-20


 

 

│세계 최초 DNA 나노기술부터 달 관측까지…과기정통부 선정, 올해의 '국가대표 R&D' 100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7일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세계 최초의 ‘DNA 나노기술’, 희귀 암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인간 다이서 효소 구조 규명’, 미 항공우주국(NASA)의 유인 달 착륙 임무에도 활용될 ‘달 관측장비 개발’ 등이 올 한 해 우리 연구진이 일궈낸 국가대표 R&D 성과로 선정됐다. 이외에도 기계‧소재 분야에서는 종이접기 하듯이 하나의 구조체를 다양한 모양으로 접거나 펼 수 있는 DNA나노기술 개발이. 정보‧전자 분야에서는 손가락 동장 인식이 가능한 전자피부 및 신호 처리를 위한 임베디드 로직 컨트롤러 개발 등이 최우수 성과로 선정됐다.

이번 100선에 선정된 성과들은 과기정통부 장관 명의의 인증서와 현판이 수여되고 관계 규정에 따라 과제선정과 기관평가 등에서 가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선정된 연구자에게는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유공포상(훈·포장, 대통령표창, 국무총리표창 등) 후보자로 적극 추천되는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 관련 기사 보기(뉴시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966893?sid=105

 

│정부, 기후변화 대응 기술 개발에 2조7496억원 투자...올해대비 약 3.9% 증가

 정부가 약 2조 7496억원을 투자해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생태계 조성 등 기후변화대응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내년도 투자액은 변동될 수 있으나, 올해보다 약 3.9% 증가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내용으로 ‘2025년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시행계획’을 수립·추진한다. 2032년까지 진행되는 이 계획은 14개 관계 부처, 12개 지방자치단체가 공동 참여하며, 기후 위기 대응에 필요한 과학기술 혁신·추진 방향을 담고 있다. 과기부는 관련 국내외 기관 공동연구를 통해 글로벌 연구개발(R&D) 인력과 산업현장 맞춤형 인력 양성을 지속할 계획이며 관련 중앙부처·지자체와 함께 범정부 협의체를 구성 후 주기적으로 정책 추진을 공유하고 성과를 점검할 예정이다.

 

☞ 관련 기사 보기(조선비즈):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040275?sid=105


│네이처 선정 2024년 최고의 과학 이미지…절벽을 오르는 흰 족제비 外

 절벽을 오르는 흰 족제비부터 어둠 속에서 크게 흔들리는 구슬 같은 목성, 개기일식을 관찰하는 사람들의 반응, 그리고 꽃을 닮은 바이러스. 이같은 생생한 과학 현장을 포착한 사진이 네이처 선정 2024년 최고의 과학 이미지로 선정됐다. 첫 번째 사진인 '그리스의 비극'은 지난 8월 그리스 아테네 외곽에 도달한 맹렬한 산불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 산불은 불길이 건물을 삼키고 10000ha(헥타르)의 땅을 손상시켰다. 두 번째 사진의 제목은 '박테리아 꽃'이다. 캐나다 맥마스터대가 현미경으로 관찰한 박테리오파지는 박테리아를 숙주 삼아 기생하면서 공격성을 보이는 바이러스로 마치 주름진 표면이 펄럭이는 꽃잎처럼 보인다. 그밖에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 작가 대회'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털북숭이 등산가'와 '투쟁은 진짜다', '일식 관람객' 등의 사진도 최고의 과학 이미지로 선정됐다. 털복숭이 등산가는 절벽을 어렵게 올라가는 흰족제비의 모습, 투쟁은 진짜다는 올해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케냐에서 치타들이 강을 건너려고 시도하다가 하류로 떠내려가는 모습, 일식 관람객은 북미대륙에서 7년 만에 일어나는 개기일식에 감탄하는 관람객의 모습을 담고 있다.

 

☞ 관련 기사 보기(동아사이언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4/0000030031?sid=105